항렬표 옥천(순창)조씨 개관 > 항렬표
         
항렬(行列)은 같은 씨족 안에서 상하의 차례를 분명히 하기 위하여 만든 서열이다. 항렬은 아무나 마음대로 정하는 것이 아니고 문중에서 족보를 편찬할 때 일정한 대수의 항렬자(行列字)와 그 용법을 정해 놓아 후손들이 이에 따르도록 하는 것이 관례로 되어있다. <출처 : 대동보(戊寅譜) 1-70>

20 21 22 23 24 25 26 27 28
行列字
현·선
鉉․善
연·택
淵·澤
동·휴
東·休
훈·용
勳․容
익·규
翼·奎
계·용
啓·鎔
운·우
雲·雨
권·수
權·秀
29 30 31 32 33 34 35 36 37
行列字 우·희
愚·熙
원·주
遠·周
민·경
敏·敬
수·연
洙·衍
주·술
柱·述
경·경
炅·烱
중·재
重·在
옥·강
鈺·鋼
구·한
求·漢

 

※ 참고 : 오행(五行)의 원리와 항렬자(行列字)
- 오행(五行)은 <水→木→火→土→金>의 관계가 계속 반복 순환하는 자연(自然)의 원리다.
- 오행의 원리는 상생(相生)의 관계와 상극(相剋)의 관계가 있다.
- 생(生)은 도와주고 극(克)은 억누름을 말한다.

 

항렬자(行列字)는 오행(五行)의 원리에서 상생(相生)의 원리에 따라 정한다.
水→木 물은 나무가 살아가도록 도움을 준다.
木→火 나무는 연료가 되어 불을 타오르게 하는 도움을 준다.
火→土 불은 나무를 타게 해서 흙으로 돌아가도록 도움을 준다.
土→金 흙은 굳어서 쇠(광물)로 되도록 도움을 준다.
金→水 쇠는 다시 녹아서 물로 돌아가도록 도움을 준다.

자연(自然)은 이와 같이 상생(相生)의 원리에 의해 끊임없이 계속 순환한다.
종중(宗中)의 항렬자(行列字)도 이와 같은 원리에 따라 정한다.
다시 말해서 부모가 자식에게 도움을 주는 원리이다.

우리 옥천(순창)조씨 항렬자도 다음과 같이 오행의 원리를 따르고 있다.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行列字
현·선
鉉․善
연·택
淵·澤
동·휴
東·休
훈·용
勳․容
익·규
翼·奎
계·용
啓·鎔
운·우
雲·雨
권·수
權·秀
우·희
愚·熙
원·주
遠·周
민·경
敏·敬
五行

상극(相剋) 관계는 다음과 같다. 상극(相剋) 관계로 이름을 짓지 않아야 한다.
水→火 물은 불을 꺼버리는 억누름이다.
木→土 나무가 땅을 파 헤치는 억누름이다.
火→金 불은 쇠를 녹이는 억누름이다.
土→水 흙(제방)은 물길을 막는 억누름이다.
金→木 쇠(도끼)는 나무를 찍어 내는 억누름이다.